본문 바로가기

우리만 알기엔 아까운 입시 이야기/정시 이야기

(41)
연세대 탐구 가산점의 영향력은? 2025 대입부터 기존에 운용했던 모집 계열을 4가지 유형화하여 반영비율 및 탐구 과목에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2024 합격자들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해 보니 사탐 3% 가산점의 영향력은 인문계열 합격자의 합격 비율이 74.1%에서 87.0%로 합격 비중이 많이 증가하였습니다. 자연 계열의 경우 과탐 3%의 영향력은 합격 비중이 97.7%에서 99.5%로 합격 비중의 영향이 거의 없었습니다.​추가) 정시 모집 합격자들의 수능 영어 과목 등급의 비율​
<정시>반영비율로 유리하다고 해서 반드시 거길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보통, 대형업체 설명회나 유튜브 에서 하는 정시 설명회를 들어보면, ['반영비율에 따라 나에게 유리한 곳'을 찾아라]라는 말을 자주합니다.​언듯 들어보면, 맞는 말이지만 실제 지원할 때는 이 말이 꼭 맞아 떨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즉, 유리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올해 성균관대를 봅시다.​올해 2025학년도부터 성균관대는 아래처럼 4가지 반영방식을 제시하고 이 중 학생에게 유리한 것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임의의 자연계 학생의 수능성적표로 성균관대식 환산점을 계산해봤더니 아래와 같이 나왔다고 해봅시다. 이 학생은 국어와 수학을 잘 보고 탐구를 망쳤습니다.당연히 자연계열이니까, 과탐 가산점이 있어서 자연계열. 그리고 국어와 수학을 잘 봤으니 자연 유형 B의 환산점수가 가장 좋..
2025학년도 수능 1, 2등급 추정 컷 (도수분포 참조) 국어 1등급 92, 2등급 86점수학 1등급 88, 2등급 77점 영어 1등급은 6%대생윤 1등급 41, 2등급 37윤사 1등급 42, 2등급 39한지 1등급 48, 2등급 43세지 1등급 48, 2등급 44동사 1등급 48, 2등급 46세계사 1등급 47, 2등급 45경제 1등급 46, 2등급 43정법 1등급 48, 2등급 45물1 1등급 48, 2등급 45화1 1등급 50, 2등급 47생1 1등급 45. 2등급 42지1 1등급 44, 2등급 40물2 1등급 48, 2등급 45화2 1등급 45, 2등급 39생2 1등급 44, 2등급 40지2 1등급 47, 2등급 41​도수분포를 보고 추정한 거니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
표본분석하는 방법 약 3년전만 하더라도 정시지원시 표본분석이라는 게 유행했었습니다.하지만, 표본분석이라는 게 의치한약수나 서연고 이하에서는 표본분석에 들이는 노력에 비해 가성비가 현저히 떨어지는 동시에 엑셀 사용의 미숙함까지 더해져 그리 넓게 퍼지진 못했습니다. 하지만, 지금부터 진학사 모의지원 업데이트 마지막날까지 할 일은 없고 표본분석을 통해 대략적인 합불을 예상해보겠다시는 분들은 시중에 돌고 있는 표본분석 엑셀파일을 이용하기 보다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진학사 모의지원사이트에서 '표본분석'을 제공하고 있으니 이를 이용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이에 대해 안내를 해드리고자 합니다. 단, 이 표본분석은 모의지원 데이타 즉, 모의지원 사이트를 결제하고 이용하는 표본이 많아야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표본이..
2025 정시에서 네 영역 모두 반영하지 않는 대학들 EBS 자료 중 정리가 잘 되어 있는 게 있어 필요한 부분만 가져옵니다. ​원래 정시는 국수영탐 네 영역 모두 반영하지만 일부 영역을 반영하지 않는 대학도 있습니다. 특정 과목을 '망친' 학생이라면 잘 확인해서 정시 지원할 때 참고할 내용입니다.
2025학년도 의대, 치대, 한의대,약대, 수의대, 교대, 그리고 주요대학 정시 전형 및 3년치 입결 검색기 배포 제가 만든 2025학년도 주요 대학 정시 전형 및 3년치 입결 검색기를 탑재합니다.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 교대는 전부 담았고, 주요대학은 다음과 같습니다.주요대학(가나다순) : 가천대, 가톨릭대, 강원대, 건국대, 경기대, 경북대, 경상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국민대, 단국대, 덕성여대, 동국대, 동덕여대, 명지대, 부산대, 상명대, 서강대, 서울과기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세종대, 숙명여대, 숭실대, 아주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천대, 인하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중앙대, 충남대, 충북대, 한국교원대, 한국외대, 한국항공대, 한양대, 한양대에리카, 홍익대입결은 어디가 기준입니다. 2024학년도, 2023학년도는 백분위와 환산점수를 모두 ..
정시에서 펑크를 찾는다는 것은 수시와는 다르게 정시는 자신의 점수보다 조금이라도 높은 곳을 합격하게 되면 성공이라고 여깁니다. 이 때 학과는 보통 고려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소위 '펑크나는 학과 또는 대학'에 합격이라도 하면 사람들 사이에 회자되기도 합니다.​그런데 이 '펑크'를 차지하는 학생은 한 명 많아야 두 명 정도입니다. 누군가는 이 자리를 차지해서 행운(?)을 누릴 것이고, 누군가는 그 자리를 차지하지 못해서 아쉬워하는 상황이 생기는 거죠. 그런 행운은 회자되기 마련이라 해마다 정시때만 되면 '펑크' 한 두 자리를 차지하고 싶은 욕심이 생기는 것은 인지상정이겠죠.​그런데, 이 한 두 자리를 차지한다는 것은 너무나 어려운 일이라서 결과론적인 판단이 될 뿐입니다. 원서 접수 시 이를 발견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