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만 알기엔 아까운 입시 이야기/학생부교과 이야기

(6)
경희대 지역균형전형의 핵심은? 학교생활기록부에서 교과학습발달상황 교과성적 세특 만 내려 받아 평가자료로 탑재, 그외의 영역은 평가시스템에 탑재하지 않습니다.교과종합평가는 학교생활기록부 교과학습발달사항(교과성적,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정성적으로 평가합니다. 학생부교과의 취지에 맞게 '교과역량'에 집중해 종합평가를 시행합니다. 특히, 수업태도와 탐구력 등 '학업수행 충실도'와 지원 전공(계열)과 관련ㄷ된 과목 선택의 적절성 및 성취도인 '교과이수 충실도'를 중점적으로 평가합니다. 하지만 내신만 좋다고 합격할 수 있는 전형은 아닙니다. 특히, 의대처럼 지원자들의 내신이 조밀한 경우 서류평가에서 얼마든지 뒤집어질 수 있는 구조입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경희대 교과전형에 주로 지원하는 내신인 1.5등급과 2등급간 점수차이는 환산점수로 8...
성균관대 학교장추천전형 지원시 유의사항 2024 입시에서 수능 최저등급을 인문, 자연 모두 국,수,영,탐,탐 중 ‘3합 7’로 완화하였습니다. 이런 수능최저를 완화한 효과는 10% 정도로 수능최저 충족률이 인문은 73%, 자연은 63%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교과성적 결과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그럼에도 전통적으로 계속해서 한문학, 철학, 사회복지학, 아동청소년학이 타학과에 비해 조금 낮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낮아도 1등급 후반에서 2등급 초반 정도이지 크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성균관대는 종합전형만 운영하다가 교과전형이 운영된 지는 3년 밖에 안됩니다. 교과 전형을 실시한 첫해에 영상학과가 3점대로 떨어졌고, 재작년에 교육학과가 4점대까지 떨어졌습니다. 작년에는 심리학과 3점대까지 내려갔습니다. 하지만 특정해에 이렇게 구멍이 난 학과들은 다음 ..
교과전형에서 입결을 계산할 때 또는 입결을 볼 때 등급만 보면 안되는 이유-조선대학교 2023학년도 입결을 보고... 2023학년도 조선대학교 교과전형은 환산점수로 450점 만점입니다. 거기에 출석성적 50점이 포함되어 총점은 500점입니다. 그리고 환산점수 500점에 진로선택과목이 10점이 가산되어 총점은 510점이 됩니니다. 진로선택과목은 국영수사과한 중에서 성취도가 높은 3과목만 반영하는데 3과목 모두 A를 받으면 10점 만점이고 B가 하나 있으면 9.83333...점입니다. 대략 1.7점 정도 차이가 납니다.그런데 출결은 기본점수 45점에 가산점이 있습니다. 즉, 미인정 결석일수가 0라면 5점이 가산됩니다. 만약 미인정결석 1일이 있다면 4.5점이 가산됩니다. 미인정 결석이 없는 경우에 비해 0.5점의 차이가 납니다.만약, 진로선택과목에서 상위 3과목을 뽑았더니 AAB가 나오고 미인정 결석도 하루가 있다면 대략 ..
수시에서 안정이라고 쓴 교과전형에서 떨어지는 이유 중 첫번째는 수시는 보통 6개를 지원합니다. 자연계열 중 1점대는 과기원도 지원해서 6장 이상일 수 있고, 또 모고가 백분위 99 이상 나와서 서연고까지면 지원하는 학생은 수시를 3장 정도만 지원하기도 합니다.암튼, 수시를 6장 지원할 때 보통의 경우 원서 구성을 이렇게 합니다. 안정 교과 1장 또는 2장, 나머지 학종 4~5장.이게 평범한 일반고의 수시 지원 원서 구성의 정석일 것입니다.이렇게 안정을 잡고 지원하는 데도 수시 6광탈하는 경우가 많이 일어납니다. 그 원인의 첫번째는 당연히 수시 최저 미충족입니다. 그래서 안정이라고 봤던 교과전형에서 불합하고 나머지 학종으로 지원한 대학도 모두 불합하면 수시 6불합이 됩니다.두번째는 안정이라고 지원한 교과전형의 수능최저를 맞췄는데 하필 경쟁률이 폭발해서 입결이 올라가버..
인천대 2024학년도 입결로 본 교과전형 지원시 주의해야할 단 하나! 인천대학교가 국립대 답게 일찌감치 작년 입결을 입학처 홈페이지에 발표했습니다.2024학년도 교과전형의 입결을 바탕으로 2023학년도와 비교해보면서 2, 3등급대 교과전형 지원시 고려해야 할 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이 표는 2025학년도 수시전형 및 입결 검색기를 캡처한 것입니다.​먼저 수능최저가 있는 교과전형인 교과성적우수자전형을 보겠습니다.수능최저는 2합 7입니다. 인천대 교과전형은 2,3등급대 학생들이 안정으로 지원하는 곳입니다. 그렇다 보니 2합 7이라는 게 꽤 부담되는 수능최저입니다. 보통 이 학생들의 영어 등급이 3등급 정도이고 그렇다면 다른 과목에서 4등급을 맞춰야 하는데 그게 생각보다 어려운 학생들이 참 많습니다. 국수탐 중 하나라도 자신 있는 과목이 있다면 그게 좀 쉬운데 대부분은 3..
교육청 자료 오류 아래는 서울시교육청에서 나온 자료 중 일부입니다. 이 자료에서의 오류는 무엇일까요? 1번입니다. 최소한 지난 3년의 입결과 추이를 봐야 하구요. 올해와 비교해서 지난 3년동안 교과전형의 반영비율, 반영과목, 수능최저의 변화, 경쟁률, 추합률까지 살펴봐야 합니다. 교육청 전략을 보고 일선 학교에서도 교과전형 지원을 지도할텐데 그렇게 하면 큰일나죠. 특히 작년에 유난히 내려갔거나 올라간 모집단위는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